한돈미래연구소

한돈미래연구소를 안내합니다.

[품질제고] 한돈과 수입돈육 비교 및 국산 삼겹살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2024-11-14

(요약)

 

한돈과 수입돈육 비교

 ○ 관능평가 결과

  - 한돈 삼겹살이 식감, 육즙, 지방 함량, 연도, 냄새 부분에서 유의미하게 수입산보다 우수하였음(9개 항목 중 6항목)

 ○ 원산지별 가격별 구매 의향

  - 소매점과 식당에서 한돈의 구매 의향 결과, 모든 가격대에서 한돈의 구매 의향이 수입산에 비해서 높았음

  - 수입산 대비 한돈 삼겹살 구매 시 더 많은 지불의향 있음 48%

  - 추가 지불 의향 정도 평균 13.7%

 ○ 한돈과 수입산 삼겹살 차이

  - 한돈과 수입산 삼겹살이 차이가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은 1순위 가격(73.9%), 2순위 신선도(62.8%), 3순위 맛(58.9%) 순서로 차이 있다고 응답함

 ○ 원산지별 삼겹살 유통시간

  - 도축부터 소비자 판매까지 한돈 삼겹살의 경우 평균 10.3, 수입산 삼겹살의 경우 48.9일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

 

 

 

 

국산 삼겹살 경쟁력 강화 방안

 ○ 가격 경쟁력에서 한돈이 다소 열세이기 때문에, 수입산 냉장 삼겹살이 한돈 삼겹살에 위협 요인이 될 수 있음

 ○ 한돈이 수입산보다 유통 일수가 훨씬 짧아 소비자들은 수입산보다 더욱 신선한 한돈 삼겹살을 먹을 수 있지만, 관 및 물류 기술의 발달로 수입이 냉장 상태로 유통되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면 한돈의 장점이 상쇄될 수 있음

   - 도축부터 소비자 판매까지 평균 국내산 10.3, 수입산 48.9일 소요

 ○ 삼겹살 지방에 대한 오해를 과학적인 근거로 인식개선 필요

 ○ 적은 가구원수의 가정에서 조리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먹기 좋은 형태 손질하여 포장단위를 작게 하거나 간편식 형태로 유통 필요

 ○ 편의점이나 온라인 유통에 입점을 늘릴 필요가 있음

 ○ 한돈은 가격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고급화 및 차별화된 장점 부각이 절실함

 ○ 한돈의 브랜드별로 품질 관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돈 브랜드 제품 수입산에 비해 소비 명분이 적어,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 강구 필요

목록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