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한돈자조금의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용한 한돈정보

HOME정보마당유용한 한돈정보
바닥방식에 따른 돼지생리와 적정사육밀도
2010-10-29
바닥방식에 따른 돼지생리와 적정사육밀도

바닥방식에 따른 돼지생리와 적정사육밀도
1. 돈사 바닥형태의 결정
돈사의 바닥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형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제분작업과 관련이 있다.
돈사의 분뇨수거방식은 ①평바닥 형태의 인력제분방식이 있고 ②고상식 부분 바닥망 형태의 인력제분방식이 있다. 위와 같은 방식(①, ②)은 제분을 위한 통로가 필요하여 돈사의 이용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고 제분 작업 인력의 소요가 큰 단점이 있어 최근의 돈사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③톱밥돈사가 있다. 이 돈사에서는 대부분의 분뇨처리 공정이 완료되는 장점과 톱밥상 관리가 잘 될 때 추위 스트레스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톱밥 수급의 어려움과 이상적인 톱밥상 관리의 어려움이 따른다.
다음으로 제분작업을 자동화 한 방식으로 ④스크레퍼 방식과 ⑤슬러리 방식이 있다. 스크레퍼 방식과 슬러리 방식은 제분작업을 위한 인력소요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슬러리 방식은 분뇨를 돈사 내부에 저장하기 때문에 환경관리를 위한 환기설비에 신경을 써야 한다.
분뇨수거방식에 따라 돈방의 바닥망 비율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①평바닥 형태의 돈사와 ②톱밥돈사는 돈방에 슬랏부분이 없고 ③고상식 부분 바닥망 돈사는 제분을 위해서 슬랏부분을 약 1m 미만으로 하므로 슬랏비율이 작게 된다. ④스크레퍼 방식의 돈사는 스크레파 기구의 성능때문에 슬랏부분을 일반적으로 2m 이내로 한다. ⑤슬러리 돈사는 슬랏부분의 제한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제분방식에 따라 슬랏부분 면적이 달라지고 이는 돈방내부에서 청결한 부분의 면적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육밀도와 수용두수가 변하게 되고 긍극적으로 돈사효율이 변하므로 신중히 결정하여야 한다.
2. 돈방 바닥형태와 요구면적의 변화
돈방 바닥형태에 따라 두당 요구면적이 달라진다. 그 이유는 오염구역의 차이에 기인한다. 전면슬랏 돈사의 경우 돼지의 분뇨가 신속히 배출되므로 돈방 전체가 청결한 것으로 간주하고 잠자리 면적(돼지가 누워있는 면적) 최대치의 10% 여유공간만으로 충분하다.
평바닥 돈사의 경우에는 돈방의 일정 부분이 분뇨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돈방요구면적은 전면슬랏 돈방면적에 오염된 부분의 면적을 추가하여야 한다. 돈방의 물 구배가 잘 되어 있다면 약 40%의 공간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구배가 잘못되어 오염된 부분의 면적이 늘어난다면 그 부분만큼 추가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부분 슬랏 돈사의 경우 이상적으로 똥자리가 형성될 것을 가정할 때 잠자리 면적의 최소 30%의 추가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돼지가 배변을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돈방의 요구면적은 돈방의 슬랏 비율에 따라 청결성의 확보가 달라지므로 최소로 요구되는 돈방의 크기가 달라진다. 이는 돈사의 활용율의 변화를 의미하고 수익성과 관련되는 항목이다.
돈방의 이상적인 최소요구면적은 급이기의 위치, 칸막이의 형태, 환기의 방식, 바닥의 구배가 올바르게 되었을 경우에 산정된 면적이다. 만일 급이기의 위치, 칸막이의 형태, 환기의 방식, 바닥의 구배가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배변구역에 변화가 있고 오염된 면적이 늘어나므로 돈방의 면적이 더 필요하거나 사육두수를 줄이는 방법을 취하여야 한다.
3. 돈방의 형태와 사육밀도
돼지가 돈방을 사용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첫번째 습성은 군집성이다. 돼지는 서열이 존재하며 무리를 이루어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것의 의미는 돼지는 무리생활이 방해되는 조건에 처하면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군집성은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지만 돈방을 사용하는 데에서 확연하게 나타나는 군집성은 추우면 뭉치고 더우면 흩어지면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 민감성의 측면이 군집활동을 통해서 보완되는 것이다.
돼지가 돈방을 사용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두번째 특성은 온도 민감성이다. 많은 사람들이 돼지는 땀샘이 퇴화되고 지방이 두꺼워서 더위에 약하고 추위에 강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반쪽의 옳은 생각으로 더위에 약한 것은 사실이지만 추위에 강하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이는 돼지가 적정온도 조건에서 몸에 물을 묻히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또한 조금만 추워져도 한곳에 뭉쳐서 서로의 체온에 기대어 추위를 극복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돼지는 더위와 추위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물이다라는 것이다. 특히 추위는 신체의 면역력을 급격히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돼지가 추위에 강하다는 생각은 빨리 버려야 할 것이다.
돈방을 사용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돼지의 세번째 습성은 청결성이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돼지는 자신의 둥지 밖에 배설하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습성은 돼지가 청결한 동물이라는 생각의 근거가 된다. 돈방의 돼지가 고온 조건에서 똥 오줌에 온몸을 뭉개는 것을 보고 지저분한 동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체감온도를 낮추기 위한 정상적인 활동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돼지의 3가지 습성 즉 군집성, 온도민감성, 청결성이 조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돼지가 돈방을 사용하는 형태의 변화이다.
돈방의 구성부분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부분은 잠자리 또는 보온구간으로 표현되는 휴식공간이고, 두번째 부분은 똥자리 또는 오염구간으로 표현되는 배설장소이며, 세번째 부분은 섭식활동과 이동공간인 활동공간이다.
돼지가 돈방에 들어가게 되면 급이기와 급수기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섭식활동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돼지의 선택에 의하여 잠자리와 똥자리로 나뉘게 된다. 활동공간은 돼지의 이동과 활동이 활발한 공간으로 돼지가 휴식하기에는 대단히 불편하므로 잠자리로 선택되지 않는다.
<사진 1>은 5m×6m 크기의 돈방으로 급이기가 돈방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다. 급이기로부터 체장의 1.2배의 공간은 잠자리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급이기를 중심으로 직경 3m의 공간은 돼지가 휴식할 수 없는 공간이 된다.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돈방에서 돼지는 돈방의 테두리를 따라 잠자리를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돈방에서 돼지는 정상적인 군집활동을 통한 체온조절 기능이 방해되고 이로 인하여 사시사철 호흡기 관련 질환을 앓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정상적인 사육밀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효율적인 배변공간 형성에도 제약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돈방을 설계함에 있어서 돼지의 능동적인 사료섭취 활동을 망각하고 단지 사료를 편히 먹게 하기 위해 급이기를 돈방의 정가운데에 두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잠자리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군집성의 보장이다. <사진 1>의 예와 같이 돈군의 형성이 불가능한 돈방구조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 잠자리의 형성은 돈군의 크기 즉 모든 돼지가 누워있을 때의 면적에 맞는 공간이 잠자리로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잠자리 선택에서 군집성이 보장된다면 온도민감성과 청결성이 결정요소가 된다. 즉 찬 바람이 없고 아늑하며 청결한 자리를 잠자리로 선택하게 된다.
<그림 1>는 사료 자동라인이 보급되기 이전에 급이기 쪽은 통로가 되고 슬랏쪽은 윈치커튼인 형태의 돈사에서 돼지의 성장에 따른 돈군의 규모(사육밀도) 변화와 돈방지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돈군의 규모가 작을 때에는 잠자리로 배려된 공간이 섭식공간을 제외하고도 충분하여 은폐되고 아늑한 공간에 잠자리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돼지의 성장에 따라 돈군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가운데 또는 우측의 그림과 같이 잠자리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특히 가운데 그림과 같은 형태의 경우 돼지는 지속적인 냉기 흐름에 노출되고 심리적 불안감이 가중되어 흉막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병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돈방 바닥은 오염된 구간이 넓어져서 사육밀도를 높일 수 없으며 돈사내의 공기는 심하게 오염되게 된다.
그러나 <그림 2>과 같이 단순히 급이기의 위치만 이동하는 것으로 보온구간에 충분한 휴식공간이 형성되어 돈군의 군집활동이 보장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돈방에서는 돼지가 추위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됨으로써 농장 상재성 호흡기 질병의 발생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치료활동과 약제사용량이 감소하고 사료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똥자리가 안정됨으로써 돈사의 공기환경이 좋아지고 제분활동이 감소되어 인력절감의 효과도 발생한다.

<사진 2>는 급이기를 이동한 후의 돈방사진으로 잠자리 공간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돼지들이 방해받지 않고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돼지들의 휴식공간으로 배려된 공간에 급이기나 급수기를 설치하여 돼지의 편안한 휴식을 방해하여 서는 안된다.
 
 
 
 
    [월간양돈 10월호]
목록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