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한돈자조금의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업계뉴스

HOME정보마당업계뉴스
<냄새 개선 현황과 과제>대한한돈협회 / <기고>현장에서 바라본 축산냄새 저감 대책
2020-05-22


조진현  부장(한돈협회 농가지원부) (건국대 겸임교수)


종합대책 수립부터

가축분뇨 및 축산냄새로 인한 민원증가, 환경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정부를 포함한 축산관련 대학, 기관·단체 등에서 가축분뇨 적정처리 및 축산냄새 저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각 기관, 단체마다 통일된 체계가 없고, 중복된 사업들이 추진되다 보니 오히려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이제 단기, 중기, 장기를 구분한 정부의 축산냄새저감 종합대책 제시가 이뤄져야 한다. 이를 통해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목표를 단계별로 제시하되, 연구기관과 대학은 기초연구 · 개발을, 생산자단체나 농협 등은 농가교육 및 홍보, 전문가 육성을 담당토록 하는 등 철저한 역할분담을 유도해야 한다.

특히 정부의 냄새저감 대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시급하다.   

 

냄새 측정기준 정립

가장 먼저 축산냄새의 기준부터 마련돼야 한다. 냄새 측정기준과 방법이 만들어져야만 저감효과도 파악할 수 있고 대책도 수립할 수 있다. 현행 악취방지법의 경우 축산현장에 대해서도 모든 복합악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기희석관능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평가자(5명 이상)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가 이뤄지다 보니 그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 암모니아, 황화수소, 휘발성지방산 등 특정물질에 대한 기준이 함께 제시돼야 할 것이다. 

측정기준도 정리가 필요하다. 한돈협회는 지난 2015년∼2016년 냄새 심각농가 250여곳을 방문, 조사한 결과 최소한 휀을 끄고, 윈치를 내린 상태로 공기의 흐름이 없도록 한 뒤 10여분간 냄새를 포집, 측정해야 정확한 냄새측정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또한 축사 바닥에서 측정할 경우 바닥 청소상태에 따라 일부 항목이 과다하게 검출될 수 있는 만큼 사람의 눈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측정 당일 온도나 습도 등 환경에 따라 수치가 변할 수 있어 보정식도 필요하다. 동일 농장이라도 맑은 날 측정한 수치와 비오는 날 측정한 수치가 다를 수 있다. 한돈협회가 40여 가지(온, 습도, 바람, 날씨, 기압, 측정시간, 슬러리 피트 깊이 등) 항목을 조사, 냄새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온도와 습도의 경우 일부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절지수도 필요하다. 같은 농장에 같은 여건에서 측정한다 하더라도 VOC 등 일부 항목은 봄, 가을이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겨울철 내내 닫혀있던 봄철과 여름철 내내 환기 휀을 돌렸던 가을철의 측정 수치는 다르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농장관리 필수

정부 회의에 참석해 보면 한돈농가들이 냄새를 풍기는 주범으로 몰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우리 농가들도 냄새를 줄이고 싶어한다. 대부분 농가들이 저감제를 쓰고 있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결이 안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정부나 전문가들은 냄새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으면서 냄새의 원인을 농가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

한돈협회는 최근 2년간 냄새 심각농장들을 방문, 조사한 결과 유사한 공통점들을 확인했을 뿐 만 아니라 최소한의 기준이 제시돼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깊은 슬러리가 항상 가득 차 있고 돼지 발아래까지 가축분뇨가 차야 겨우 한 두 차씩 분뇨를 빼낸다거나, 퇴비장에 수분조절재가 거의 없이 썩은 분뇨를 말리고 있는 경우, 또는 액비저장조에 생 분뇨를 저장했다가 액비 살포철이 다가와서야 몇 주간 폭기시키는 농장에선 심각한 냄새가 날 수 밖에 없다. 우리 축산농가 스스로 하지 말아야 할 기본적인 관리기준을 만들고,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이 제시돼야 한다. 다만 냄새저감 시설 설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농장의 경영수지가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저감기술 검증 시스템도 긴요

축사의 냄새는 발생 위치별로 다르다. 축사내부, 축사외부, 퇴비장, 액비장, 사료 및 사양관리 등 발생 원인별로 맞춤형 저감기술이 적용돼야 한다. 하지만 해당 업체들이 난립된 상태에서 검증체제가 부재하다 보니 축산농가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정부 및 관련기관에서 냄새 저감시설 및 기술에 대한 검증과 함께 현장에서 내농장에 맞는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하는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액비 재순환 시스템’은 그 대표적 사례일 것이다.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설치 농가 가운데 70~80%가 실패, 사용을 중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규모별, 처리방식별(액비화, 정화방류 등), 발생 부하량별 표준모델을 마련하는 한편 구체적인 설계도면까지 제시돼야 할 것이다. 

눈에 보이는 냄새저감을 위한 조경사업 지원도 전축종에 걸쳐 실시돼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과 함께 우리 농가들 스스로의 의지와 실천이 결합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한돈산업 이 보장될 것임은 물론이다.  


출처 : 축산신문(2020.05.22) http://www.chuksannews.co.kr/news/article.html?no=235049

 

 

목록가기